728x90
1. Node.js 설치 (https://nodejs.org/en)
해당 페이지에 들어가 LTS로 다운로드 및 설치
* 설치 확인
node -v
2. Yarn 설치
https://classic.yarnpkg.com/en/docs/install#windows-stable
Yarn
Fast, reliable, and secure dependency management.
classic.yarnpkg.com
해당 페이지 접속하여 Click to expand 클릭 => 다운로드 클릭(설정은 default로 다운로드)
* yarn 설치되었는지 확인
yarn -v
3. CRA (Create-React-App) 설치
- 리액트 프로젝트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개발 환경을 세팅 해주는 도구
( 리액트 프로젝트에 필요한 패키지들을 묶어 리액트 앱을 생성해준다. )
- 리액트 앱 생성( 본인이 원하는 프로젝트 명)
(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은 디렉토리에서 다음 명령어를 실행 한다. )
저는 C에 reactWork 폴더 생성하여 이동해 설치했습니다.
yarn create react-app (원하는 프로젝트 명)
4. 리액트 앱 실행하기
# 리액트 앱 생성한 폴더로 이동
cd C:\reactWork\react-test
# 리액트 앱 시작
yarn start
이러면 localhost:3000이 자동으로 뜬다.
'웹개발 > 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React] 리액트 시작하기(3) - JSX란 (0) | 2023.05.30 |
---|---|
[React] 리액트 시작하기(2-1) - 간단한 실습 (0) | 2023.05.30 |
[React] 리액트 시작하기(2) - Components & Props (0) | 2023.05.30 |
[React] 리액트 사용 이유 (0) | 2023.05.23 |
[Template Engine] JSP와 Thymeleaf (0) | 2023.05.23 |